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서버사양
- impot numpy
- AI #Parameter #hyperparameter #machinelearning #deep
- ram정보확인
- 배치실행
- 스터디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리눅스
- 저장장치용량
- 가상환경복사
- 정리
- 정처기실기
- os확인
- MLOps
- 메모리확인
- 리눅스사용자생성
- 소프트웨어생명주기
- serving
- it #coding #python #AI #machinelearning #deeplearning #algorism
- 컨테이너기술
- 리눅스디렉토리구조
- 아나콘다 #가상환경 #아나콘다설치 #윈도우 #파이썬 #데이터분석플랫폼 #anaconda #python #datascrience #platform #virtualenv
- Linux
- python
- 정처기
- 공부
- 정보처리기사
- 서버사양확인
- 리눅스명령
- AI
- Today
- Total
목록Linux (3)
GgongssLog
1, 저장장치 용량 정보 확인법 lsblk df -h 2.cpu정보 확인 lscpu 3. OS 및 버전 확인 cat /etc/*release* 4. RAM정보 확인 lsmem free -h 언젠가 써먹을 수도 있기에..메모메모..ㅎㅎㅎ
1. 크론(Cron) 리눅스에서 특정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하는 데몬 2. 크론탭(Crontab) 크론이 언제 무엇을 하는지 특정 파일에 저장하는 것 3. 크론탭 설정 #크론탭 편집 crontab -e #크론탭 작업 내용 확인 crontab -l #크론탭 삭제 crontab -r 4. 날짜명으로 크론탭 로그 남기기 $ crontab -l 0 20 * * * /home/user/ai/model/model.sh >> /home/user/ai/model/logs/`date "+\%Y-\%m-\%d"`.log 2>&1 -> 매일 20시에 /home/user/ai/model/model.sh 해당 shell파일을 실행, /home/user/ai/model/logs/ 경로에 \%Y-\%m-\%d 형태의 날짜명으로 l..
리눅스 : CLI방식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- /bin :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명령어 위치 -/sbin : 시스템 프로그램 (재부팅같은 것) -/etc : 설정파일 -/var : 내용이 바뀔 수 있는 파일. ex) log파일. cd ~ : 현재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로 이동 파일 찾는 법 - locate 파일이름(ex *.log) : 이 명령어는 db를 뒤져서 파일을 찾음. - find . 현재 디렉부터 하위디렉까지에서 찾겠다. - find / -name *.log : 모든 디렉토리에서 .log로 끝나는 파일 모두 찾아라 - fnd ~ -name *.log : 홈디렉토리에서 .log로 끝나는 파일 모두 찾아라 - whereis ls 명령어 : 명령어가 있는 자리, 사용설명서가 있는 위치 둘다 출력 - $P..